[질문]
[해설]
참 많이 헷갈리는 문제죠?
이렇게 복잡해 보이는 문제를 해결할 때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 돌아가 보면 됩니다.
1. 먼저,
질문자님이 빈칸 뒤에 나온 to 부정사를 보고 to 부정사 앞에 for 목적격을 생각했다면,
이 to 부정사의 정체를 확인하기 위해 앞 부분을 보아야 합니다. 앞에 to keep이 또 있지요?
이 to keep이 뭘까 알아보기 위해 그 앞을 보면 it is가 있지요?
그런데, it앞에 그것이 대신할 단수명사가 없네요. 대명사인데 자기가 대신할 명사가 앞에 없으니
이 it은 가주어이고 to keep~이 진주어겠네요.
그리고 to 앞에 for 목적격이 없으니까 빈칸 뒤의 to 앞에도 for 목적격이 필요 없다는 것이 분명하네요.
2. 다음에,
important 앞에 as가 보이죠? 형용사나 부사 앞에 as가 있으면 무조건 동그라미 치고, 뒤에 as가 있나 확인하세요.
끝까지 보아도 없지요? 그러면 빈칸에 as가 들어간다는 것은 확실하네요.
3. 선택지를 보니까 1번에도 있고 5번에도 있습니다.
그런데 문장의 as 앞에 just가 있어서 빈칸에 딱 맞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게 될 수 밖에 없네요.
4. 이럴 때는 제가 처음에 말한 대로 가장 단순한 형태를 떠올려 봅니다.
문제의 핵심이 바로 as ~ as 비교구문이니까 그것의 가장 단순한 형태를 만들어 봅니다.
A is as important as B (is).(A는 B만큼 중요하다.)
이제 문제로 돌아가 기본형태와 대조하면서 살펴봅시다.
as 앞의 주어(A)가 it이고 동사는 is이지요? 그리고 it의 내용이 to keep ~이잖아요.
그러면 빈칸에 들어가는 as 뒤에 주어(B)가 따로 있어야 할텐데,
빈칸 뒤의 to keep ~을 B라고 할 수는 없어요.
비교대상인 A에 to keep ~이 아니라 가주어 it을 썼으니 B에도 to keep ~이 아니라 가주어 it을 써야지요, 그렇죠?
그리고 그걸로 끝나면 it 뒤에 바로 to keep이 오게 되어서 독자에게 혼란을 줄 우려가 있습니다.
이럴 땐 동사 is도 함께 써 주어야 합니다.
그래서 정답은 1번이 됩니다.
5. 하나 남은 궁금증: 그런데 as 앞의 just는 뭘까? 뒤의 as 앞에도 붙여야 하지 않나?
다른 상관구문을 하나 적어 봅니다. 상관구문에 동그라미 치세요. 저는 밑줄을 치겠습니다.
We work not to die but to live.(우리는 죽기 위해서가 아니라 살기 위해서 일합니다.)
not 뒤에 to 부정사 but 뒤에도 to 부정사가 있어서 완벽하게 형태가 같지요?(parallelism)
*but 뒤에 to가 빠지면 절대 안됩니다!!! 시험에 아주 잘 나오니 잊지 마세요.(평행구조)
짝을 이루는 not과 but의 뒤에 오는 형식만 검토하는 것처럼,
A is as 형용사 as B (is)구문에서도 서로 비교되는 A 와 B만 검토하면 됩니다.
앞 부분에서 is와 as 사이에 오는 말은 뒤에 나오는 as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문제에 쓰인 just는 '정말로, 꼭'의 뜻을 갖는 부사이며 앞의 as만을 꾸며줍니다.
6. 내친 김에 하나 더~ : as 부사 as
비교구문은 형용사 뿐만 아니라 부사에도 적용됩니다.
A는 B만큼 영어를 많이 좋아한다.
A likes English as much as B (does).
(B 뒤의 동사는 A의 동사가 현재이면 do/does, 과거이면 d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