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격절, 병렬구조, 그리고 동명사의 전성명사
[질문]
Rather it seems to me that we have a true dilemma, that the drive that urges men to laborious research and to the braving of public criticism with their conclusions, is the drive which perseveres and makes them persist against criticism.
영어 문장 구조 분석 부탁드립니다. 일단, 주어부터 찾는 게 너무 힘들어서 질문드립니다.
[해설]
Rather it seems to me that we have a true dilemma, that the drive that urges men to laborious research and to the braving of public criticism with their conclusions, is the drive which perseveres and makes them persist against criticism.
it seems to me that we have a dilemma : it은 상황을 나타내는 비인칭 it, seems 불완전 자동사, that은 seems의 보어(명사절) ㅡ 나에게는 우리가 진짜 딜레마에 빠져 있는 것 같다
굵게 표시된 that은 a true dilemma와 동격의 that절이고, 그 안에서 the drive that ~ is the drive which ~,
즉 "(that) ~하는 욕구가 (which) ~하는 욕구다."로 구성된 2형식 문장으로 이것이 a true dilemma의 내용입니다. 붉게 표시된 that과 which는 둘다 주격 관계대명사
that은 a true dilemma의 동격절인데, that절이 conclusions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that절 안에서 the drive가 주어, is가 동사, the drive가 보어입니다. 주어가 관계대명사절(that부터 conclusions까지)의 수식을 받고 있어 너무 길어져서 독자에게 혼란을 줄 우려가 있어서 동사 is 앞에 컴마를 쓴 것입니다.
전제 구조는,
it(주어), seems(동사), to me(부사구), that we ~ dilemma(보어절), that the drive ~ against criticism(동격절)이고, 동격절인 that 절은 the drive가 주어, is가 동사, 뒤의 the drive가 보어이고, 두개의 the driver가 각각 that urges ~ conclusions와 which ~ criticisms라는 관계대명사절(형용사절)에 의해 수식을 받는 구조입니다.
즉, <부사 + S V + 부사구 + C(that절), 동격의 that절>의 구조인 것입니다.
drive는 욕구라는 뜻, urge 사람 to 동작명사: 사람에게 ~하도록 재촉하다, 몰아대다
to ~and to ~로 연결됨, braving은 '~에 용감하게 맞서다'의 동명사형으로 명사화되면서 the가 붙고 ~에 해당하는 목적어 앞에 of가 붙음 즉 the braving of public criticism: 대중의 비판에 용감하게 맞서기
전체를 해석하면,
오히려, 나에게는 우리가 진짜 딜레마, 즉 사람들로 하여금 힘들게 연구하게 하고 (and) 연구 결과 얻은 그들의 결론을 가지고 대중의 비판에 용감하게 맞서도록 내모는 욕구가, (쉽게 사라지지 않고) 끈질기게 지속되면서 그 사람들(연구자들)을 비판에 견디게 만드는 욕구라는 딜레마에 빠진 것 같다.
[추가질문]
선생님 정말 감사합니다. 다만 궁금한 점이 하나 있습니다. brave는 '~에 용감하게 맞서다'라는 뜻을 가진 타동사던데,
타동사면 목적어를 가져야 할텐데 왜 문장에서는 brave 뒤에 목적어가 없나요?
아니면 brave of 통째로 쓰였다고 봐야 하나요?
[해설]
braving public criticism을 and 앞의 <to + 명사구조>와의 병렬관계 때문에 동명사 braving을 명사화시켜 to + 명사구조로 만들다 보니까 braving 앞에 the가 붙고 목적어인 public criticism 앞에 목적격 전치사 of를 붙인 것입니다.
예를 들어 discovering America를 the discovery of America로 만든 것과 동일한 구조입니다. '아메리카를 발견한 것'을 '아메리카의 발견'으로 바꾼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braving public criticism을 the braving of public criticism으로 바꾸어 쓴 것입니다. discover와 달리 brave의 명사형은 없으니까 동명사가 명사형이 된 것입니다. 동명사가 명사화되면 준동사가 아니라 명사니까 목적어를 바로 쓰지 못하고 명사+of + 목적어 형식으로 써야 합니다. 이것을 '전성명사'라고 부릅니다. 이때 (동)명사가 뒤의 'of+명사'에 의해 한정을 받기 때문에 앞에 the가 붙게 됩니다.
또한 이런 것, 즉 타동사의 명사형을 '동작명사'라고 부릅니다. 타동사의 동작명사는 of 뒤에 목적격이 오고 주격은 동작명사 앞에 소유격 또는 동작명사 뒤에 'by+목적격'으로 표현합니다.
Columbus' discovery of America 또는 the discovery of America by Columbus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발견 또는 콜럼버스에 의한 아메리카의 발견
[추가질문]
선생님 진짜 최고입니다. 이해가 너무 잘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