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명사구와 명사절
명사는 문장의 주어나 보어, 타동사의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가 됩니다.
반드시 그 중의 하나의 역할을 해야합니다.
그런데, 여러 단어가 한덩어리가 되어 하나의 명사 역할을 할 때가 있습니다.
그것들이 접속사가 있으면 명사절, 없으면 명사구라고 부릅니다.
I want chocolate. chocolate이 명사로서 동사 want의 목적어입니다. 초콜릿을 원한다
목적어 자리에 chocolate 대신 <to by a gift for him>을 넣으면,
I want to buy a gift for him. <그를 위해 선물을 사는 것>을 원한다.
둘 다 '을/를'이 붙어서 원한다(want)의 목적어가 되지요?
즉, <그를 위해 선물을 사는 것>이 하나의 '명사' 역할을 하지요?
다시 말해서, '이름'을 나타내는 말인 명사처럼 된 것이지요. 명사라는 것이 아니라...
Choosing a gift for him is difficult. <그를 위해 선물을 고르는 것>은 어렵다.
그 책은 어렵다. The book is difficult.에서 그 책처럼, 끝에 '은'이 붙어 명사처럼 문장의 주어가 되었습니다.
Choosing a gift for him이 명사가 아니면서도 명사역할을 하는 것이지요.
to buy a gift for him, choosing a gift for him 둘 다 여러 단어들이 한덩어리가 되어,
<~하는 것>이라는 말로 주어나 목적어가 되었으니 명사역할을 한다 해서 명사구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He says it. 그는 그것을 말한다.
it은 대명사로서 says의 목적어입니다.
He says that she is interested in me.
that she is interested in me도 says의 목적어입니다.
I think that she is interested in me. 나는 그녀가 내게 관심이 있다고 생각한다.
that she is interested in me가 하나의 명사처럼 says와 think의 목적어가 되었습니다.
명사가 아니면서도 명사역할을 하고, 접속사를 갖춘 문장이니까 명사절이라고 부릅니다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말이고, 부사는 명사 이외의 것들(동사, 형용사와 부사)을 꾸며주는 말입니다.
먼저, '꾸며준다'는 말은 다음의 두 가지 경우를 말합니다.
첫째,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말이다.'라고 하는 경우입니다.
명사를 그냥 쓰지 않고 앞에 어떤 말('~한/~하는')을 붙여서 쓸 때(아름다운 강산, 어려운 책 등),
그 말이 명사를 '꾸민다'고 말하고, 그것을 형용사라고 부릅니다. a hard work(어려운 일:hard가 형용사)
둘째, '부사는 1)동사, 2)형용사 또는 3)부사를 꾸며준다.'라고 하는 경우입니다.
1)그는 빠르게 달린다(He runs fast).에서 '빠르게(fast)'는 '달린다(runs)'라는 행위(동사)의 모습을 설명하는 말이고,
2) 그는 매우 정직하다(He is very honest).에서
'매우(very)'는 '정직하다(honest)'의 정도를 설명하는 말이고, 이 때 '매우'가 '정직하다'를 '꾸며준다'고 말합니다.
정직하다' 또는 '정직한'은 명사를 설명하는 말이라서 형용사입니다.
1), 2)에서 처럼, 동사, 형용사를 꾸며주는 말을 부사라고 부릅니다.
3) 그는 매우 빠르게 말한다(He runs very fast).에서
'빠르게(fast)'는 '달린다(runs)를 꾸며주는 말(부사)이고,
'매우(very)'는 '빠르게(fast)'의 정도를 설명하는 말입니다.
이 때 '매우'가 '빠르게'를 '꾸며준다'고 말합니다. 부사를 꾸며주는 말도 부사라고 부릅니다.
*'꾸며준다'는 말을 정리하면,
명사를 설명하거나 꾸며주는 것은 형용사이고,
동사, 형용사, 또는 부사를 꾸며주는 말은 부사입니다.
즉, 다른 말을 '꾸며주는' 것은 형용사와 부사 둘 뿐입니다.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말입니다.
여러 단어가 한 덩어리로 명사를 꾸미는 경우에 접속사가 있으면 형용사절, 없으면 형용사구입니다.
to 동사원형이 명사를 꾸밀 때, 이것은 형용사역할을 하니까 형용사구가 됩니다.
a lot of works to do 해야 할 많은 일들
현재분사나 과거분사도 명사 뒤에서 그 명사를 꾸며주므로 형용사구입니다.
the man sleeping on the bench 벤치 위에서 자고 있는 사람
a dog deserted by its owner 주인에 의해 버려진 개
<전치사+명사>도 앞에 있는 명사를 꾸밀 때는 형용사구가 됩니다.
the book on the table 탁자위에 있는 책
관계대명사절도 선행사인 명사를 꾸며주니까 '형용사'역할, 문장이니까 '절', 그래서 형용사절입니다.
students who come from diverse cultures 다양한 문화에서 온 학생들
She is the first woman that gave me chocolate. <나에게 초콜릿을 준> the woman을 꾸미지요?
위에서 본 것처럼,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말이고,
다른 말을 꾸며주는 것은 형용사와 부사, 둘 뿐입니다.
따라서, 명사를 꾸미는 경우(형용사)가 아닌, 나머지 모든 경우는 부사입니다.
여러 단어가 한 덩어리로 명사 이외의 말을 꾸미는 경우에,
접속사가 있으면 부사절, 없으면 부사구라고 부릅니다.
특히, <전치사+명사>는 명사를 꾸미는 경우 외에는 무조건 부사구입니다.
To make him happy, I bought chocolate.
<그를 행복하게 하기 위해서>는 명사를 꾸미는 게 아니죠? 그러니까 부사구입니다
I gave him chocolate on Valentine's Day.
<발렌타인 데이에>는 명사를 꾸미는 게 아니지요? 그러니까 부사구란 걸 알 수 있지요.
위의 부사구는 각각 어떤 말을 꾸밀까요? 네, 동사인 bought, gave를 각각 꾸밉니다.
I'll give her a gift in return because she gave me chocolate.
<그녀가 나에게 초콜릿을 주었기 때문에>는, 명사를 꾸미는 게 아니지요? 그러면, 무슨 말을 꾸밀까요?
'~주었기 때문에 난 ~줄거야'는 연결이 되지요? 그래서 'because she gave me chocolate'은 동사 give를 꾸민다고 말하고, 부사역할을 하는 문장이므로 부사절이 됩니다.
(시간, 장소, 이유, 조건, 양보 등등 <모든 부사절은 동사를 꾸며준다>고 정리하면 됩니다.)
***** 명사구/절, 형용사구/절, 부사구/절 총정리
명사구: to 부정사<~하는 것>, 동명사<~하는 것>
명사절: that절, 의문사절(who, which, what, when, where, why, how, whether), if절(~인지 아닌지)
형용사구: <전치사+명사>, to부정사(~할, 해야 하는>, 현재분사/과거분사
형용사절: 관계대명사절(that/who/which), 관계부사절(선행사 뒤에 쓰인 when/where/why절)
부사구: <전치사+명사: 'ㄴ/는'이 아닌 모든 경우>, to부정사:<~하는 것, ~할> 빼고 전부, 분사구문
부사절: 명사절과 관계사절을 뺀 나머지 전부
기왕 설명한 김에 <보어>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부사라는 말이 어려우면 당연히 보어라는 말도 어렵게 느끼고 있을테니까요.
<그녀는 되었다(She became)>. 이 말은 언뜻 알아듣기 힘든, 뭔가가 빠진 불완전한(불충분한) 말이지요?
이렇게 혼자서 주어를 완전히 설명하지 못하는 동사를 '불완전 동사'라고 하고,
이 동사 뒤에 와서 그 부족함을 채워 주는 말을 '보어'라고 부릅니다. ('보충하는' '말')
She became a doctor. (명사가 보어로 쓰였군요.)
She became happy. (형용사가 보어로 쓰였습니다.)
여기서 보어는 동사가 아니라 '주어(명사/대명사)를 설명하는 말입니다.
이것을 '주격보어'라고 부릅니다. ㅡ 2형식 문장
이렇게 '보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와 형용사입니다. 부사는 <동사, 형용사, 또는 부사>를 꾸며주는 말이지,
<그는 그녀를 만들었다(He made her).> 이 말도 이상하지요? 사람을 어떻게 만들어요?
여기서 '만들었다(made)'는 '책상을 만들었다, 연을 만들었다' 등의 '만들다'가 아니라,
'의사로 만들었다, 행복하게 만들었다' 등의 '만들다'의 뜻이겠지요. 그래서 뒤에 뭔가 다른 '보충해 주는말'
He made her a doctor. 그는 그녀를 의사로 만들었다.
He made her happy. 그는 그녀를 행복하게 해주었다.
그녀(her)가 의사이고, 그녀가 행복하지요? <그녀(her)>는 '목적어'이고, a doctor와 happy는
목적어를 설명하는 말이니까 '목적격 보어'라고 부릅니다. ㅡ 5형식 문장
**** 형용사는 명사를 '꾸며주'거나, 명사를 '설명해'줍니다.
앞의 경우를 '수식어인 형용사'라 하고, 뒤의 것을 '보어인 형용사'라고 부릅니다.
현재분사나 과거분사도 명사를 '꾸며주'거나, '설명해'줄 수 있습니다.
people loving flowers '꽃을 사랑하는' 사람들
people interested in movies '영화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
I saw a man running into your house. 나는 어떤 사람이 너희 집으로 뛰어 들어가는 것을 보았다.
(목적어인 a man을 '설명하'는 말이니까 '목적격보어'이고, 5형식 문장)
부정사도 명사를 꾸며주기도 하고, 설명해주기도 합니다.
I have a lot to do. 나는 '할' 일이 많다.
to do(할)가 a lot(많은 일)을 꾸며주니까, 형용사적 용법
She asked me to help her with her homework. 그녀는 나에게 숙제를 도와달라고 부탁했다.
to help her with her homework은 목적어인 me를 설명하는 말이니까 목적격 보어이고,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문사와 관계대명사/관계부사 (0) | 2021.11.28 |
---|---|
문장의 형식에 대하여 ㅡ 1~5형식 (0) | 2021.11.27 |
간접의문문과 the 비교급, the 비교급 (0) | 2021.11.27 |
가정법에서 but + 주어 + 직설법 현재? (0) | 2021.11.27 |
동명사? 현재분사? (0) | 2021.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