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웹마스터도구--> 간접의문문과 the 비교급, the 비교급
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간접의문문과 the 비교급, the 비교급

1. 간접의문문 
 
영어에 의문사는 모두 여덟 개가 있습니다. 
 who(whom), whose, what, which, when, where, why, how
 
누가(누구를), 누구의, 무엇이(무엇을), 어느 것이(어느 것을), 언제, 어디서, 왜, 어떻게(얼마나, 어떠한) 
 
이 중에서, who는 명사로만 쓰이고(의문대명사), what과 which는 명사로도 쓰이지만(의문대명사), 명사 앞에 쓰이기도 합니다.(what book: 의문형용사) whose는 항상 명사 앞에만 쓰이니까의문 형용사
 
how는 be와 쓰일 때만 형용사, when/where/why는 항상 부사입니다.(의문부사) 
 
의문사가 쓰인 문장은 의문사 다음에, who/what/which(누가/무엇이/어느 것이)가 주어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든 경우에, <의문사 조동사(will/can, .../do/does/did) 주어 동사원형?>의 구조로 쓰지요? 
 
그런데, 의문문이 다른 문장의 주어/보어, 또는 타동사나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는 '의문문'이 아니기 때문에 주어와 동사의 순서를 바꾸면 안 됩니다. 보통의 순서로 써야 합니다. 
 
다른 조동사는 당연히 그대로 쓰지만, do/does와 did는 없어지고 본래의 동사를 주어에 맞게 씁니다. 
 
What does she want? 그녀가 무엇을 원하지? 
Tell me what she wants. <그녀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내게 말해줘.  
(의문문이 아니니까 does she want 가 she wants로 바뀝니다.) 

이런 것을 '간접의문문'이라고 부릅니다. 본래의 의문문은 당연히 '직접의문문'이구요. 여덟 개의 모든 의문사가 '간접의문문'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문장의 주어나 보어, 타동사와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입니다. 명사역할을 하니까 '명사절'이 됩니다.  

 

이렇게 의문사가 쓰인 문장이 다른 문장의 주어/보어, 목적어가 될 수 있는데, who와 which는 '관계대명사'로도 쓰이니까, who/which가 있는 경우에, 주의해야 합니다. 
 
그것이 '의문사'인지 '관계대명사'인지는 문맥을 보아야 알 수가 있는 것이지, 무조건 곤계대명사로 보면 안됩니다. 
'누구'/'어느 것'의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때 비로소 관계대명사인 것입니다. 관계대명사라면, 앞에 있는 '선행사'를 'who/which에 넣어 해석해 보면 확인됩니다. 
 
 
2. the 비교급, the 비교급 
 
앞에 쓰인 the는 '~하면 할수록'의 뜻을 갖는 접속사역할, 뒤의 the는 '그만큼'이라는 뜻의 부사입니다. 
흔히, 최상급 앞에 정관사 the를 쓴다고 하는데, 사실은 이 the도 '가장'의 뜻을 갖는 부사입니다. 
영어를 가르치는 사람도, 배우는 사람도 전혀 '사전'을 보지 않으니 그런 엉뚱한 말을 하게 되지요.  
 
I like him the most. (명사 없이 쓰는 관사가 있습니까? 그게 가능한 일입니까??)

나는 그를 가장 많이 좋아한다. *여기의 most는 'much'(많이)라는 부사의 최상급 표현입니다. 
 
The more we have, the more we want.  
 
우리는 많이 가지면 가질수록, 그만큼 더 많은 것 을 원한다. 
*** 여기의 more는 'many'의 비교급 표현이고, many는 '많은 것'이라는 대명사로 쓰였습니다.(목적어) 
 
The higher we climb up the mountain, the more difficult it becomes for us to breathe. 
우리가 산에 높이 올라가면 갈수록, 그만큼 우리가 숨쉬는 것이 더 어려워진다. 
 
*** 여기의 more는 이음절어 이상의 형용사/부사의 비교급 표현을 만드는 more입니다.  
= As we climb up the mountain higher, it becomes more difficult for us to breathe. 
 
The sooner, the better. 빠르면 빠를수록, 그만큼 더 좋다. 
(The sooner you come, the better it will be.) 
 
The more, the better. 많으면 많을수록, 그만큼 더 좋다. 
(The more we have, the better it will 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