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aptitude of Symphony를 꾸며주고 있는 건가요?
2. the model for the revolutions in America and France에서 for의 용법이 궁금합니다
3. he, Protagoras, will have won, in which case he will get his money back에서 in which case의 용법이 궁금합니다 '그 경우에'라고 해석이 돼있던데 어떻게 쓰인 건가요?
4. the most charismatic and persuasive of the crew member에서 of는 왜 쓰인건가요?
6. the small sharp hooves of the sheep puddle the ground, making it almost impermeable, a hard pan off which the rain gushes 여기서 a hard pan은 문장 내에서 무슨 역할을 하나요?
7. job chasing people obviously dose more to promote a fluid society than people chasing jobs to promote a fluid society하고 job chasing people의 용법이 궁금합니다
job chasing people이 '직업이 사람을 쫓아다니는 것'으로 해석됐던데 왜 그런가요?
[해설]
1. So it is with the high-concept aptitude of Symphony.
with는 전치사니까 뒤에 명사가 와야 하고 그 명사를 "목적어"라고 부릅니다. 즉, 영어에는 목적어가 둘 있습니다: 타동사의 목적어랑 전치사의 목적어
따라서, with가 aptitude of Symphony를 꾸며주는 것이 아니라 aptitude가 with의 목적어입니다. 여기의 with는 "~의 경우에"의 뜻입니다. 아래에 with의 모든 쓰임을 정리해 드릴게요.
2. the model for the revolutions in America and France
여기의 for는 "~에 적합한/ 꼭 들어맞는/ ~에 해당하는"의 뜻입니다. 한국어로는 그냥 "~의"로 번역됩니다. "아메리카(현재의 미국)와 프랑스에서 일어난 혁명, 즉 1776년 미국혁명과 1789년 프랑스 혁명의 본보기"라는 뜻입니다.
존 로크가 쓴 이라는 책이 1688년 영국 명예혁명의 이론적 근거와 정신적 지주가 되었고, 이 명예혁명이 미국혁명과 프랑스 혁명의 모델이 되었습니다.
3. he, Protagoras, will have won, in which case he will get his money back
which는 "어느 것"이라는 뜻의 의문대명사와 "어느"라는 뜻의 의문형용사로 쓰이고, 선행사 뒤에서 "그것 또는 그것들"이라는 뜻의 관계대명사와 "그"라는 뜻의 관계형용사로 쓰입니다.
Do you know which book she'll choose?
너는 그녀가 어느 책을 고를지 알겠니?
Protagoras will have won, in which case he'll get his money back.
여기서 which를 "어느"로 해석하면 말이 되지 않지요, 도대체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 수 없지요? 그러니, "그"로 해석해야 합니다. in which case "그" 경우에는 (, in which case = and in the case 라는 뜻입니다.)
"프로타고라스가 결국 이길 건데(미래완료), 그 경우에는 그가 자기가 건 돈을 돌려받을 거야."
4. the most charismatic and persuasive of the crew member
여기의 of는 "~중에서"의 뜻입니다. 최상급 표현 뒤에서는 무조건 이 뜻입니다. (members)질문한 표현은 "승무원들 중에서 가장 카리스마가 강하고 설득력 있는"이라는 뜻입니다.
5. a study found a 40% decline in empathy among college students today with most of this decline coming after 2000
표현을 "명사가 ~한 채"로 고정하지 마셔요. 그냥 "명사가 ~한다"로 이해하고 앞에 나온 말들과 자연스럽게 이을 수 있는 우리말을 고민해 보세요.
질문 문장의 뜻은 이러합니다:
연구 결과 현재 대학생들의 공감능력이 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감소는 2000년 이후에 나타난 것이다, 즉 2000년도에 비해 40% 감소했다는 말입니다.
[with의 쓰임 정리]
(도구/수단 용법, 즉 "~를 가지고/ ~로"의 뜻 외에 다음과 같이 쓰입니다)
A. 대립(경쟁, 다툼, 논쟁 등의 동사 뒤에서)
compete with(~와 경쟁하다), fight with(~와 싸우다), argue with(~와 언쟁하다)
B. 수반, 동반: ~와 함께, 더불어
C. 조화, 일치, 찬성
go with(~와 어울리다), agree with(~와 의견이 같다), go with the tide of public opinion 여론의 흐름을 따라 가다, Are you with us or against us? (찬성이야 반대야?)
D. ~함에 따라: grow wise with age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현명해지다E. 소유: ~를 가진(반대말은 without) a child with no brothers or sisters 형제 자매도 없는 아이
F. 부대 상황: ~한 상태로/ ~한 채 (with+명사+형용사/현재분사/과거분사/전치사+명사/부사)
1) He was sleeping with the door open. 문이 열린 채로 (open은 형용사로 쓰임)2) She went out for a walk with her dog following her. 개가 뒤따르는 상태로
3) He was siting with his eyes closed. 눈이 감긴 상태로(즉, 눈을 감은 채)
4) She was born with a gold spoon in her mouth. 입에 금수저를 물고
5) They stood there with their hats off. 모자가 벗겨진 채(즉, 모자를 벗고)
G. 원인: ~로 인해, ~때문에
faint with hunger 굶주림으로(때문에) 정신을 잃다
With night coming on, they closed their shop.
밤이 다가와서 그들은 가게를 닫았다.
H. 양보(보통 all과 함께): ~에도 불구하고, ~이 있으면서도
With all his wealth, he is still unhappy.
그만한 부를 가졌으면서도 그는 여전히 불행하다.
I. 관계, 관련:
our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ing nations
우리나라와 인접 국가들과의 관계
I have nothing to do with the affair. 나는 그 사건과 아무 관계가 없다.
J. 대상
1) 감정, 태도의 대상:
Be patient with people. 사람들에게 참을성 있게 굴어라.
2) 비교의 대상:
compare A with B A와 B를 비교하다
3) 일, 연구의 대상: deal with ~를 다루다
The psychologist is working with children.
그 심리학자는 어린이들을 연구하고 있다.
이 정도면 충분합니다. 특히 '부대상황, 원인, 양보, 대상'에 집중하세요.
6. the small sharp hooves of the sheep puddle the ground, making it almost impermeable, a hard pan off which the rain gushes
puddle은 그 위치(the 형 형 명 of 명 puddle the ~)로 보아 동사입니다. "웅덩이를 만들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장 전체의 뜻을 설명합니다.
"양들의 작고 날카로운 발굽들 때문에 땅에 웅덩이가 생겼고, 그 땅(it)을 물이 스며들지 않는 상태로 만들어(making = and made), 결국에는 그 땅을 비가 오면 빗물이 솟구치는(튕겨나가는) 단단한 냄비바닥이 되게 하였다." (머릿 속에 그림이 그려지나요?
수많은 양들이 밟고 지나간 땅은 처음에는 작은 웅덩이들이 생기고 계속 다져지다 보니까 단단해져서 물이 스며들지 않는 상태가 되고 결국에는 비가 내릴 때 물이 스며드는 다른 땅과 달리 그 단단한 바닥에 부딪쳐 빗물이 튕겨지는 현상이 된 것을 "단단한 냄비바닥"이 되는 것으로 묘사한 글입니다.
a hard pan의 문장 내에서의 역할은 making의 목적격 보어입니다. it이 목적어, impermeable과 a hard pan이 목적격 보어입니다.
7. job chasing people obviously dose more to promote a fluid society than people chasing jobs
does가 오타가 났네요? (항상 꼼꼼하게...) 하나 더! 맨 앞의 job도 s가 빠졌어요. jobs에요.
jobs chasing people과 people chasing jobs
ing는 "~하는"의 뜻과 "~하는 것" 두 가지 의미가 있다는 것, 잘 알고 있지요?
전자는 현재분사로서 앞 또는 뒤의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하는 현재분사, 후자는 주어 또는 목적어 역할을 하는 동명사라고 부르지요.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은 표현에서 과연 무슨 뜻인지 판단하는 능력입니다. 철저하게 문맥에서 결정되는 것이고 문법 실력과는 관계가 "전혀" 없습니다.
미리 말씀드리지만, 제 아무리 문법을 잘 안다고 우겨봐야 이런 문장의 의미를 모른다면 말짱 헛것이고 "문맹(illiteracy)" 상태를 벗어날 수 없습니다.
1) 먼저, 영어 학습자들이 익숙하게 여기는 현재분사로 접근해 볼까요?
"사람들을 쫓아다니는 일자리들(명백하게 jobs입니다! 뒤에 자세히 설명할게요.)"과 "일자리를 쫓아다니는 사람들"이 되지요? 이 말을 넣어 해석해 볼까요?(일단 does의 es는 무시하고!)
ㅡ job이 직업이라는 뜻만 있는 게 아니에요. 일자리라는 뜻도 있어요. 여기서는 "일자리"의 뜻
"사람들을 쫓아다니는 일자리들이 더 많은 일(more)을 한다 / 유동적인 사회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또는 촉진시키는데 / 일자리를 쫓아다니는 사람들보다"
ㅡ 이게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 수 있어요? 일자리가 사람보다 더 많은 일을 한다? 일자리가 일을 할 수 있나요?? 어쨌든 말이 이상하니까 다른 뜻을 동원해야 겠지요?
2) 동명사로 접근합니다. "일자리들이 사람을 쫓아다니는 것이 사람들이 일자리를 쫓아다니는 것보다 더 많은 일을 한다, 유동적인 사회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또는 촉진시키는데"
ㅡ 어때요? 쫓아다니는 것과 쫓아다니는 것을 비교한 말이니 일단 말은 되지요? 쫌 어색해요?
"일자리들이 사람을 쫓아다니는 현상이 사람들이 일자리를 쫓아다니는 현상보다 유동적인 사회를 만드는데 더 많이 기여한다, 더 많은 도움이 된다." 이렇게 바꾸면 쫌 더 이해하기 쉽지요?
3) 물론, 현재분사로 해석하나 동명사로 해석하나 의미하는 내용은 동일합니다. 문법적 기능만 다를 뿐입니다. 한국어로는 동명사로 해석하는 것이 훨씬 합리적이지만, 아직 고등학생 단계에서는 잘 모를 수 있으니 일단 넘어가셔요. 정 궁금하시면, 국어선생님께 여쭤보세요. 위에 쓴 두 개의 한국어 문장을 들고 가서...
4) 이 문장의 동사를 보세요. does입니다. 그렇다면, 동명사 표현, 즉 "쫓아다니는 것"이 주어라는 뜻입니다. 현재분사로 해석하면 Jobs가 주어니까 does를 쓸 수 없습니다. do를 써야죠?
to 부정사(또는 원형부정사)든 ing든 p.p든 바로 앞에 있는 명사(대명사)가 의미상 주어입니다. chasing 앞의 Jobs와 people이 각 동명사 chasing의 의미상 주어입니다.
5) 이 문장은 2016년 6월에 실시된 평가원 모의 수능평가(명칭은 2017년 6월 평가원 수능모의평가) 33번 빈칸 문제의 마지막 문장입니다. 첫 문장에 빈칸이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It is not hard to see that a strong economy, where opportunities are plentiful and jobs go begging,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hat이하라는 것을 아는 건 어렵지 않은 일이다(쉽다) / 기회가 풍부하고 일자리들이 구걸하는 어떤 경제체제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다는 것을".
ㅡ "일자리가 구걸한다"는 말에 빨간줄 치세요. 뭔 말인지는 마지막 문장과 함께 검토하면 됨!
자, 마지막 문장을 봅시다: " 일자리가 사람을 쫓아다님 ㅡ 더 많은 일을 함 / 유동적인 사회를 촉진시킴 ㅡ 사람이 일자리를 쫓아다님"
일자리가 사람을 쫓아다닌다? 일자리가 구걸한다? 이 둘은 명백히 같은 말이지요? 그러니까 빈칸에는 "더 많은 일을 함 / 유동적인 사회를 촉진시킴"이 들어가야 합니다. 이 말과 같은 의미를 갖는 표현을 선택지에서 찾으면 됩니다. 혹시 선택지 단어가 어려우면? "사회"라는 말은 꼭! 들어가야 합니다. 무슨 글이든, 말이든 "가장 중요한 정보"는 명사입니다. 더 자세히...
이 글은 한 마디로, "어떤 경제체제든 기회/일자리가 풍부하면 유동적인 사회가 된다."
명사로 연결하면, 경제체제 ㅡ 기회/일자리 (풍부)ㅡ 사회 (유동적): 이 세 개의 명사가 핵심어입니다. 선택지에 무슨 장난을 쳐도 도저히 틀릴 수 없습니다. 선택지를 볼까요?
"society"라는 말이 들어있는 선택지는 2번 밖에 없네요: help break down social barriers
'사회적 장벽을 허무는데 도움이 된다' 비교해 볼까요? '유동적인 사회를 촉진한다'
ㅡ 같은 말이라는 느낌이 드시나요?
(뭔말인지는 몰라도, barriers가 뭔지 몰라도 틀릴 수 없는 문제에요. society와 social만 알면!)
무엇이든 "핵심"을 정확하게 알면 해결하지 못할 일이 없답니다. 이 기회에 꼭 알아두세요.
듣기문제든 독해문제든
"주어(명사A) ㅡ 동사 + 목적어(명사B)"로 정리하고, A와 B가 "생명어, 답"
그러므로, 독해할 때는 "동사"를 잘 찾자:
"동사 앞의 명사(주어)가 주제어, 동사 뒤의 명사가 키워드(정답)!"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중 전치사, 분사와 관계대명사가 동시에 쓰인 문장 해석 방법 (0) | 2021.12.01 |
---|---|
부사 최상급에 the는 왜...? (3) | 2021.12.01 |
or 앞에 콤마를 쓸 수 있는가? when과 if가 호환? (0) | 2021.11.30 |
that이 접속사냐, 관계대명사냐? (0) | 2021.11.28 |
It ~ that 강조구문에서 의문문 강조 (1) | 2021.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