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웹마스터도구--> 보어로 쓰이는 주격 관계대명사
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보어로 쓰이는 주격 관계대명사

[질문]

John Williams is not the ringingly distinctive name that Andreas Segovia is.

 

존 윌리엄즈라는 이름은 앤드리어즈 세고비아만큼 대단히 유명한 이름은 아니다

왜 이렇게 해석이 되나요?

비교도 없는데 that이 왜 저런식으로 되는겁니까?

 

존 윌리엄즈는 대단히 유명한 이름은 아니다 라는 것 까지는 알겠는데 저 뒤에 보충해주는 말이

안드레아스 세고비아가 있는/세고비아인 대단히 유명한 이름

이라고 해석하면 말이 이상한건 알아요. 근데 어떻게 저런 해석을 끌어올 수 있는거지요? ㅠㅠ

 

[해설]

여기서 that은 the ringingly distinguished name을 받는 관계대명사이고,

뒤 문장의 보어입니다. 한국식 영문법 설명에서는 보어도 주격이라고  설명합니다.

 

이 문장은 "존 윌리엄즈는 대단히 유명한 이름이 아니고, 세고비아가 바로 그 유명한 이름이다"는 뜻입니다.  

우리말은 명사를 반드시 앞에서 수식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주격인 경우에는 거꾸로 해석해도 전혀 어색하지 않지만,

보어나 소유격인 경우 어색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느껴지도록 의역한 것입니다.

 

거꾸로 올려 번역하면, "존 윌리엄즈는 세고비아가 해당되는 그 대단히 유명한 이름이 아니다."

ㅡ 원문에 없는 말을 집어넣지 않으면 우리말문장으로 옮기는 것이 불가능해지죠?

그래서, '세고비아만큼'이라는 말을 넣어 자연스럽게 번역한 것입니다.

 

영어문장은 영어의 순서대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관계대명사는 그것이 가리키는 선행사로 말을 바꾸어

뒤 문장에 (주어, 보어, 목적어로) 계속 이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관계대명사는 '대명사'이기 때문에 선행사를 먼저 내세워야 이해가 되지 않겠습니까?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렬구조  (0) 2021.11.26
현재완료와 과거완료  (0) 2021.11.26
the 비교급, the 비교급 변형표현  (0) 2021.11.26
자동사와 타동사  (0) 2021.11.25
목적격 보어  (0) 2021.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