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Nor would it occured to the American woman that looking directly at man could be interpreted as bold or disrespectful.
이 지문에서 that looking directly... 에있는 that이 접속사래요. that이 접속사(완전한 문장)인 경우는... 생각 나는대로는
1) 동사 뒤, 2) (주격)보어, 그리고 3) 주어로 올 때 쓰이는 거로 알고있어요.
그런데 보시다시피 저 지문은 occured가 1형식 자동사로 보어가 필요 없으니 전혀 접속사가 등장할 수 없다고 생각이 되는데, 해설지는 접속사that절 이라고 적혀있어서요.
that이 어떻게 접속사로 쓰였어요?
[해설]
1. that 뒤에 looking이 동사가 아니니 주격관계대명사가 아니죠?
또 그 뒤로 보니까 could가 있는데 man 앞에는 at이 있으니 man이 could의 주어가 아닙니다.
그렇다면 looking이 주어가 되고 동명사겠네요. '남자를 똑바로 쳐다보는 것은'
be interpretted는 수동태니까 목적어가 필요 없고, 따라서 that은 목적격 관계대명사도 아니죠, 그렇죠?
남자를 똑바로 쳐다보는 것은 해석될 수 있다 / 뻔뻔하거나 불손하다고
목적어도 필요 없고 완전한 문장이니까 that은 명사절을 만드는 접속사겠네요, 이해 되나요?
명사절이니까 전체 문장의 목적어나 보어가 되어야 하잖아요. 위치로 보아 주어는 아닌 것 같고...
목적어라면 앞에 타동사가 있어야 하고, 보어라면 앞에 be동사가 있어야 합니다.
2. 그러면, 위 문장에서 that 절은 어떤 역할을 하는 지 살펴 봅니다.
문장을 앞에서부터 보면,
would it, 즉 주어와 동사가 뒤바뀌어 있지만 일단 무시하고, 내용을 보면 "그것이 그 미국여성에게 일어나지 않았다."
그것(it) 말고는 that절은 이 문장과 아무런 관련을 가질 수가 없네요. 그럼 여기에 써서는 안 되지요.
마지막 가능성이 남아 있습니다. 바로 it입니다.
it은 대명사니까 그 앞에 나온 문장의 단수명사나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대신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앞 문장과 아무 상관 없이 새로 문장을 쓰면서 it으로 시작하고 그 내용을 뒤에 to-동사원형으로 쓸 수 있습니다. 부정사 배울 때 가주어, 진주어 들어 보셨죠. it은 가주어, to-동사원형은 진주어
이렇게 it을 먼저 문장의 주어로 내세울 때, 그 내용을 뒤에서 that절로 쓸 수 있습니다.
즉, that절이 주어인데 너무 길어서 독자에게 부담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that절 대신 it을 쓰고 뒤에 that절을 쓰는 것입니다. it이 가주어, that절이 진주어인 구조입니다.
이제 이해 되셨나요? 전체 문장을 다시 해석해 드립니다.
" 또한 그것, 곧 여자가 남자를 똑바로 쳐다보는 것이 뻔뻔하거나 불손하다고 여겨질 수도 있다는 생각이 그 미국여성에게 떠오르지 않을 수도 있다.
*Nor는 '~도 아니다'의 뜻을 갖는 부사이고, 부정의 부사를 문장 앞에 쓰면 주어와 동사의 위치가 바뀝니다. 이것을 어려운 말로 도치구문이라 합니다. 부정어 도치구문은 따로 영문법 카테고리에 올려 놓겠습니다.
'영문 독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격절, 병렬구조, 그리고 동명사의 전성명사 (0) | 2021.11.27 |
---|---|
have no idea what 이 동격? (0) | 2021.11.27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0) | 2021.11.26 |
관계사의 계속적 용법과 도치 (0) | 2021.11.26 |
공무원 영어 독해, 어법 (0) | 2021.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