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웹마스터도구--> It ~ that 강조구문에서 의문문 강조
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It ~ that 강조구문에서 의문문 강조

[질문]

질문: Why is it that many students feel  they can adequately learn information if it is in lyrical form? 
 
1) 책 해설에 보니까 이 문장이 it that강조구문을 쓴 거라는데 왜 그런 거죠? 
 
2) It that강조구문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을 it 과 that사이에 넣어주는 거라고 알고 있는데요, 여기서 강조하고자 하는 대상은 many students인 것 같은데 왜 it과 that사이에 넣어서 why is it many students that이렇게 쓰지 않은 걸까요? 
 
3) 그리고 it that강조구문에서 that은 관계대명사로 뒤에 불완전 문장이 온다고 알고 있는데 해설지엔 that이 접속사라고 하더라구요.
It that강조구문에서 that이 접속사로 쓰이는 경우도 있나요? 
 
4) 간접의문문은 의문사 뒤에 항상 완전한 문장을 끌고 오나요? 

 

[해설]

Why is it that many students feel (that) they can adequately learn information if it is in lyrical form? 
 
여기서 강조되는 것은 why입니다. 
 
먼저, it is ~ that 강조구문부터 설명합니다. 질문 2)와 3)에 대한 답변입니다. 
 
It is~ that 구문의 that은 '관계대명사'가 아닙니다. 접속사입니다. 
 
알고 계신대로, It is ~ that 강조구문은, It is와 that 사이에 어떤 문장의 요소를 넣어 그 말을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문장의 '모든' 요소가 이 구문에 의해 강조될 수 있습니다. 
 
 
 
1. 강조되는 사례와 그 문장의 해석 방법 
 
I met a beautiful girl on my way home yesterday. 
나는 어제 집에 오는 길에 어떤(한) 아름다운 소녀를 만났다. 
 
It was a beautiful girl that I met on my way home yesterday. 
어제 집에 오는 길에 내가 만난 것은 바로 어떤(한) 아름다운 소녀였다. 
 
It was on my way home that I met a beautiful girl yesterday. 
내가 어제 한 아름다운 소녀를 만난 것은 바로 집에오는 도중이었다. 
 
It was yesterday that I met a beautiful girl on my way home . 
내가 집에 오는 길에 한 아름다운 소녀를 만난 것은 바로 어제였다. 
 
It was I that met a beautiful girl on my way home yesterday. 
어제 집에 가는 길에 한 아름다운 소녀를 만난 것은 바로 나였다. 
 
 
 
2. that의 정체는? 
 
그냥 접속사입니다. 그런데, 
 
명사를 강조할 때, 즉, 주어나 타동사의 목적어 또는 전치사의 목적어를 강조할 때는, 
 
that 이하의 구조가 관계대명사절과 같은 구조가 됩니다. 즉, 주어나 목적어(타동사의 목적어든, 전치사의 목적어든)가 빠
 
진 불완전한 구조가 되지요. 그런데, that은 관계대명사로도 쓰이니까 that대신 who나 which를 써도 의미가 동일합니다. 
 
이런 이유로 It is that 강조구문에 who나 which를 쓰게 된 것이지, 그렇게 써도 된다고 해서 본래의 성질이 변하는 것은
 
아닙니다. 결과적으로 나타난 현상만 보고서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관계대명사'라고 부르는 것 뿐입니다.
 
그 결과 질문자님처럼, 불필요한 의문을 갖는 분들이 생겨나게 된 것이지요. 
 
명사를 강조하는 경우, that/who/which를 관계대명사라고 보는 것은 전혀 문제가 아니지만, 
 
이것 때문에 It is ~ that 구문을 제대로 알지 못하게 된다면 큰 문제가 됩니다. 
 
다시 정리해서 말하면,
 
It is와 that 사이에 들어가는 말 때문에 that이 접속사가 되기도 하고 관계대명사가 되기도 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It is ~ that 강조구문인데, 강조되는 말이명사냐 부사(구)냐)에 따라 that 뒤의 구조가 다른 것 뿐입니다. 
 
 
 
3. 질문하신 문장에 적용하면, 
 
It is why that many students feel (that) they can adequately learn information if it is in lyrical form. 이런 구조인데,
 
즉, why가 It is 와 that 사이에 들어가 강조된 것인데, 이것이 의문사니까 의문문의 구조로 바뀐 것 뿐입니다. 
 
why가 맨 앞에 나가고 주어 it과 동사 is의 순서를 바꾸어 의문문을 만든 것이지요. 
 
괄호 안의 that은 feel의 목적어인 명사절 접속사 that이구요.
 
정말 중요한 것은 if 다음의 it이 무엇을 가리키는가를 확인하는 일입니다.
 
그냥 지나쳐서는 안됩니다. information을 가리킵니다. 
 
전문 번역:
"많은 학생들이 자기들이 정보를, 그것이 '운율의 형태(lyrical form)', 즉, 시나 노래의 형태로 되어 있다면(in의 뜻) 충분히(제대로) 배울 수 있다고 느끼는 것은 '왜' 그런 것입니까?"
 
 
강조되기 전의 형태는 간단합니다. is it that을 빼고 many students feel을 의문문의 형태로 바꾸면 됩니다.
 
Why do many students feel (that) they can learn information if it is in lyrical form? 
 
왜 많은 학생들이 자기들이 정보를, 그것이 '운율의 형태(lyrical form)', 즉, 시나 노래의 형태로 되어 있다면 충분히(제대로) 배울 수 있다고 느낍니까? 
 
 
 
4. 최종 결론 
 
It is(was) ... that ~강조구문에서 that은 접속사인데,  
 
주어나 목적어가 강조되면 that이 관계대명사와 구조가 같아지는 결과가 되므로 that을 who/which로 바꿀 수 있고,
 
시간 또는 장소의 부사구가 강조되면, that을 각각 when, where로 바꿔 써도 됩니다. 
 
 
 
그리고,  
 
간접의문문은 주어/보어/목적어, 즉 명사역할을 하니까, 모든 간접의문문은 명사절입니다. 
 
who, what, which, what+명사, which+명사, whose+명사, when, where, why, how 모두 ~
 
이 중에서, whose+명사까지는 그것들이 명사니까 당연히 의문사절 안에서 주어/보어/목적어인 것이고
 
따라서 이것들 뒤에는 '명사'가 빠진 '불완전한' 구조가 될 수 밖에 없지요?
 
나머지 뒤의 것들(when부터)은 '부사'니까 당연히 이것들 뒤에 '완전한' 구조가 될 수 밖에 없구요.
 
(<How+주어+be>에서 how는 형용사이고, be의 보어입니다. 뒤에 당연히 불완전 구조가 올 수 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