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웹마스터도구--> 가정법 과거 were
본문 바로가기

영문법

가정법 과거 were

[질문]

가정법 과거에서는 if절에서 be동사가 쓰이면, 주어의 인칭에 관계없이 was로는 쓰이지 않고, were로만 쓰인다는데, 일반 be동사만 그렇게 쓰이는 것이 아니라, 당연히 진행형 be ing나, 수동태 be p.p에서 쓰이는 조동사인 be동사도 가정법 과거에서는 if절에서 주어의 인칭에 관계없이 was로는 쓰이지 않고, were로만 쓰이는 건가요?

 

[해설]

네, 맞습니다.

 

[추가질문 1]

1.
가정법 미래에서는 if절에서 should를 쓴 것의 뜻과, were to를 쓴 것의 뜻이 같은 건가요? 즉, should로 써도 되고, were to로 써도 되는 건가요?

2.
가정법 과거에서는 if절에서 be동사가 쓰이면, 주어의 인칭에 관계없이 was로는 쓰이지 않고, were로만 쓰이는 것처럼, 가정법 미래에서는 if절에서 were to가 쓰일 때는, 주어의 인칭에 관계없이 was to로는 쓰이지 않고, were to로만 쓰이는 건가요?

3.
가정법 미래에서 if절로 <if 주어 should 동사원형>이 쓰일 때는, if가 생략되고, 주어 동사가 도치되면, <should 주어 동사원형> 형태가 되는데, 가정법 미래에서 if절로 <if 주어 were to 동사원형>이 쓰일 때는, if가 생략되고, 주어 동사가 도치되면, <were 주어 to 동사원형> 형태가 되는 건가요?

 

[해설]

먼저, 가정법 미래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본래 가정법 과거와 가정법 과거완료는 If절의 시제에 따라 붙여진 이름입니다.
가정법 과거는 가정하는 내용을 보면 현재이지만 동사의 형태가 과거여서 그렇게 부르는 것이고,
가정법 과거완료는 내용은 과거에 대한 가정이지만 동사의 형태가 과거완료라서 그렇게 이름 붙인 것이구요.

흔히 가정법 미래로 부르는 형식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If he should die, what shall(should) I do?
혹시 그 사람이 죽으면 나는 어떡하지?
(2) If you would get pearls, you dive deep into the sea.
진주를 얻고 싶으면, 물 속에 깊이 잠수해야 한다.
(3) If I were to be young again, I would be an artist.
내가 다시 젊어진다면, 예술가가 되겠다.

If절이 모두 과거형으로 되어 있지만, 가정하는 내용이 미래라서 가정법 미래로 부릅니다.
가정법 과거, 과거완료와 비교하면 일관성이 없지요?

어쨌든 그렇게 통용되고 있으니 굳이 따질 필요는 없습니다

질문에 답하겠습니다.

1. 예전부터, should는 '그럴리야 없겠지만 혹시라도'의 의미로 미래에 대한 강한 의심을 나타내고, were to는 '불가능한 일'을 나타낸다고 구별해 왔는데, 현대영어에서는 양자를 차이없이 사용합니다.

2. 네, 맞습니다.

3. 가정법 미래 뿐만 아니라, 가정법 과거/과거완료에서도 If를 생략하고 주어와 동사를 바꾸어 의문문의 어순으로 쓸 수 있습니다.
Were I to be young again, I would be an artist.

주어와 동사를 도치시킬 때, Should/Would + 주어, Were + 주어, Had + S + p.p이지만, 그 밖의 동사는 Did 주어 + 동사원형이 됩니다.
ex) I he helped me, I could do it. ㅡ Did he help me, I could do it.
 

[추가질문 2]

감사합니다. 추가로 더 질문합니다.

1.
가정법 미래에서 if절로 <if 주어 were to 동사원형>이 쓰일 때는, if가 생략되고, 주어 동사가 도치되면, <were 주어 to 동사원형> 형태가 되는 게 맞다는 건가요?

2.
가정법 미래에서 if절로 <if 주어 were to 동사원형>이 쓰일 때는, 주절에서 조동사를 과거형만 쓸 수 있는데, 가정법 미래에서 if절로 <if 주어 should 동사원형>이나, <if 주어 would 동사원형>이 쓰일 때는, 주절에서 조동사를 현재형도 쓸 수 있고, 과거형도 쓸 수 있는 건가요?

3.
가정법 미래에서 if절로 <if 주어 should 동사원형>이나, <if 주어 would 동사원형>이 쓰일 때는, 주절에서 조동사를 현재형으로 쓸 때의 뜻과, 주절에서 조동사를 과거형으로 쓸 때의 뜻이 같은 건가요? 즉, would를 쓴 것의 뜻과 will을 쓴 것의 뜻은 같고, should를 쓴 것의 뜻과 shall을 쓴 것의 뜻은 같고, could를 쓴 것의 뜻과 can을 쓴 것의 뜻은 같고, might를 쓴 것의 뜻과 may를 쓴 것의 뜻은 같은 건가요?

 

[해설]

1. 네, 맞아요. were와 주어만 자리를 바꾸고 나머지는 그대로 씁니다.

2. were to 동사원형에서는 were가 동사이므로, 가정법 과거에서처럼 주절에는 반드시 조동사의 과거형만 써야 합니다.
should 동사원형의 경우에는 주절에서 조동사의 현재형/과거형 다 쓸 수 있어요.

3. 아닙니다. 조동사는 시제일치에서만 기본형과 과거형의 의미가 같습니다.
He said, "I will tell it to his mother". ㅡ He said he would tell it to his mother.

*will/would, shall/should, can/could, may/might 이들 조동사들은 각 전자/후자의 뜻이 다릅니다. 그래서 사전에 별도의 단어로 따로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것입니다. 각각 다른 단어라고 보아야 합니다.
거의 모든(?)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이 모르거나 간과하고 있는 중요한 사실입니다

**시간을 내서 사전을 펼쳐 보실 것을 권합니다.
You are advised to open your English dictionary.
I believe it is best to consult your dictionary as often as possible.
 
 
 

'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절 what의 문장성분, 의문사 보어  (0) 2021.11.27
관계부사 where  (0) 2021.11.27
than 뒤에 부사?  (0) 2021.11.26
before + 현재완료  (0) 2021.11.26
부사절에서 주어 동사 생략  (0) 2021.11.26